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꿀정보

안구건조증 증상, 원인, 완화법

by ΠΛΤυΓΛΙ 2022. 12. 8.
728x90

눈이 건조해져서 큰 불편함을 겪게 되는 안구건조증은 봄과 겨울에 특히 자주 나타납니다. 겨울철 실내난방으로 공기가 건조해지거나, 봄철에는 대기가 건조해지는 환경이 쉽게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날씨가 추워진 요즘에는 더욱 실내환경이 안구건조증을 잘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일상화되고 모니터나 스마트폰을 오래 들여다보는 작업 환경도 한몫합니다. 안구건조증 증상과 원인, 대처법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증상: 참을 수 없이 눈이 따갑다 


안구가 건조해지면 먼저 눈이 따갑습니다. 눈을 감고 있으면 통증이 느껴지고 조금 있으면 눈물이 차오르는 게 느껴지면서 약간 편안해집니다. 안구건조증이 심한 사람은 참을 수 없이 눈이 따갑고, 눈이 시리고 얼얼한 느낌을 받습니다. 눈에 모래가 굴러다니듯 듯한 이물감, 눈알이 뜨겁게 느껴지는 열감을 느낍니다. 조금만 작업을 해도 쉽게 눈이 피로해지고, 평소보다 눈물 양이 많아집니다. 아주 심한 경우에는 통증 때문에 눈을 계속 뜨고 있기가 어려워 눈을 감고 있어야 하거나, 실제로 시력이 약해지기도 합니다.

자고 나서 아침에 일어났는데 눈꺼풀이 서로 달라붙어 있어서 눈을 뜨지 못하는 현상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결막염이나 염증으로 발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눈에 불편함이 있을 때 무의식적으로 손으로 눈을 비비기도 하는데 이때 컨디션이 나빠진 눈에 자극을 더하기 때문이 충혈되거나 상처가 날 수도 있어서 조심해야 합니다. 

 

 

원인: 안구건조증, 왜 그럴까?

 

눈이 건조해지는 원인에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우선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난방을 많이 하므로 공기가 건조해집니다. 건조한 공기는 안구 표면을 자꾸 마르게 하고, 눈을 깜빡여서 적셔도 빨리 마르기 때문에 눈을 자주 깜빡이게 됩니다. 평소보다 눈물이 많아지기도 합니다. 건조한 환경을 개선하려면 가습기를 틀고 창문을 자주 열어 실내 공기를 바꿔주면 도움이 됩니다.두 번째로는 눈을 혹사하는 것입니다. 재택근무 등의 영향으로 스마트폰을 오래 들여다보고 모니터를 한참 쳐다보면서 눈을 뜬 상태로 있고, 안구를 좁은 범위에서 자주 왔다갔다 하는 운동을 하게 되므로 눈의 피로도가 커집니다.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드는 것이 눈마름에 큰 원인입니다.

세 번째 원인은 노화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눈물량이 줄고 눈의 건강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안구건조증뿐만 아니라 여러 안과 질환이 올 확률이 높아집니다.

기타 원인으로 렌즈 착용 등으로 눈에 미세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경우, 결막염 등 구체적인 병인이 있는 경우, 약물 복용으로 눈물 생성이 감소하는 경우, 안경이나 렌즈 착용시 세균 감염으로 심해지는 경우, 갑상성 질환이나 호르몬의 영향 등이 있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조한 실내공기, 방 안에 과도하게 밝은 것, 먼지가 많은 환경, 바람이 많이 부는 곳에서 눈에 자극을 받는 경우, 렌즈나 안경 착용 등입니다.



증상완화법: 주위 환경을 바꿔보자

일상에서 눈이 따가운 증상이 있을 때 간편하게 대응하는 방법으로는 인공눈물을 넣어주는 것이 있습니다. 불편함을 느낄 때마다 자주 눈에 넣어주면 좋습니다. 그러나 인공눈물 공급은 잠깐 효과가 있을 뿐이고 30분이나 1시간 뒤에는 다시 통증이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눈 주위를 마사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눈을 감고 위쪽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부드럽게 문질러줍니다.이때 위쪽 눈꺼풀은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쓸어내리고, 아래 눈꺼풀은 아래에서 위로 수직방향으로 쓸어올리듯이 문지릅니다. 눈알이 말라 있으므로 눈을 자주 오래 감아주는 행동 자체가 도움이 되고 눈꺼풀을 마사지해주면 눈물에 기름기를 공급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눈을 찜질하는 것도 좋습니다. 40도 정도 되는 따뜻한 물에 수건을 젹셔서 눈 위에 올려줍니다. 5~10분 정도 반복하고 물이 식으면 다시 따뜻한 물로 적셔서 반복합니다. 찜질용 안대를 전자렌지로 가열해서 사용해도 좋습니다.

 

일주일 이상 통증과 불편이 계속되면 안과에 방문해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실내공기 환기, 가습기 사용, 작업환경 바꾸기 등 생활하면서 할 수 있는 방법을 다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