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월별 공휴일, 대체공휴일 _초간단
2023년에 쉬는 날은 총 117일입니다. 토요일 49일, 일요일 53일, 공휴일 15일(대체공휴일 포함)이네요. 1년의 32%를 쉬게 됩니다. 올해부터는 설, 추석, 어린이날,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에만 적용되었던 대체공휴일이 석가탄신일, 크리스마스에도 적용됩니다. 즉 대체공휴일 대상이 7일에서 9일로 늘어났습니다.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가 주말과 겹치면 돌아오는 평일인 월요일에 이어서 쉴 수 있습니다. 2023년에는 석가탄신일(5월 27일)이 해당됩니다. 월별로 공휴일이 언제이고 며칠인지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주말은 제외) 1월 21~24일 (토,일,월,화) 1월 22일은 설날(음력 1월 1일)인데 일요일이므로 24일(월)이 대체공휴일이 됩니다. 그래서 설연휴는 총 4일 쉽니다. 2월 ..
2023. 1. 5.
나이 세는 법 '한국 나이, 연 나이' 사라지고 '만 나이'로 통일
우리나라는 나이 세는 법이 참 복잡합니다. 한국식 나이, 연 나이, 만 나이, 세는 나이, 우리 나이 등 명칭도 다양하고 제각각 자의적으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들과 얘기할 때 헷갈릴 때도 많지만 법률상 나이 제한 등과 엮이면 머리가 아플 지경입니다. 나이를 세는 방법이 '만 나이'로 통일됩니다.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내 나이는 세 가지였다. 한국식 나이, 만 나이, 연 나이 나이에 종류가 있다니 헛웃음이 나지만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식 나이, 만 나이, 연 나이가 있습니다. 한국식 나이는 '세는 나이'라고도 하는데,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한 살로 칩니다. 그리고 해가 바뀌어서 매년 1월 1일마다 한 살씩 나이를 먹습니다. 엄마 뱃속에서 나이를 먹은 셈인데,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고도 합니다. 만 ..
2022. 12. 16.